Programming Language/Python

22.01.02 파이썬 공부.

계발하는도르트 2022. 1. 2. 18:36

1. 리스트

'''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배워보자.
   
  #리스트 => list = []
   
  ex)
   
  train_list = ["박떙떙", "나떙떙", "구떙땡"]
   
  리스트를 사용하여 여러 변수의 값을 하나의 변수의 값으로 바꿀 수 있다.
   
  # 맨 뒤에 붙이는 함수.
  append 함수 => 넣고 싶은 변수 이름.append(넣고 싶은 숫자/"문자/문자열")
   
  ex)
  train_list = ["박떙떙", "나떙떙", "구떙땡"]
  train_list.append("자땡땡")
  print(train_list)
   
  # 어느 사이에 넣는 함수.
  insert 함수 => 넣고 싶은 변수 이름.insert(넣고 싶은 곳의 위치(0~), 넣고 싶은 숫자,"문자/문자열")
   
  ex)
  train_list = ["박떙떙", "나떙떙", "구떙땡"]
  train_list.insert(0, "unifer)
  print(train_list)
   
  #뒤에서부터 하나씩 뺴기.
  pop함수 => 변수이름.pop()
   
  ex)
  train_list = ["박떙떙", "나떙떙", "구떙땡"]
  train_list.pop()
  print(train_list)
   
  #정렬 가능
  sort함수 => 변수 이름.sort()
   
  ex)
  train_list = ["박떙떙", "나떙떙", "구떙땡"]
  train_list.sort()
  print(train_list)
   
  #뒤집어버리는 함수
  reserve함수 => 뒤집어서 나타내고 싶은 변수 이름.reverse()
   
  ex)
  train_list = ["박떙떙", "나떙떙", "구떙땡"]
  train_list.reverse()
  print(train_list)
   
  #값 모두 지우기 함수
  clear 함수 => 변수이름.cleaer()
   
  ex)
  train_list = ["박떙떙", "나떙떙", "구떙땡"]
  train_list.clear()
  print(train_list)
   
  리스트는 자료형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자료형을 여러가지 활용해서 사용 가능.
  => mix_list 활용
  1. 변수 정의
  ex)
  mun_list = [1, 2, 3]
  mix_list = ["나때떙"]
  print(mix_list)
   
  #리스트 합치기
  extend함수 활용 => 합치고 싶은 변수 이름1.extend(합치고 싶은 변수 이름2)
   
  ex)
   
  mun_list = [1, 2, 3]
  mix_list = ["나때떙"]
  mun_list.extend(mix_list)
  print(mun_list)
   
  '''
   
  train_list = ["Harry", "Ryan", "Gorion"]
  print(train_list) # ["Harry", "Ryan", "Gorion"]
   
  train_list = ["Harry", "Ryan", "Gorion"]
  train_list.append("Park")
  print(train_list) # ["Harry", "Ryan", "Gorion", "append"]
   
  train_list = ["Harry", "Ryan", "Gorion"]
  train_list.insert(2, "Coco")
  print(train_list) # ["Harry", "Ryan", "Coco", "Gorion"]
   
  train_list = ["Harry", "Ryan", "Gorion"]
  print(train_list) # ["Harry", "Ryan", "Gorion"]
  train_list.pop()
  print(train_list) # ["Harry", "Ryan"]
  train_list.pop()
  print(train_list) # ["Harry"]
  train_list.pop()
  print(train_list) # []
   
  train_list = ["Harry", "Ryan", "Gorion"]
  train_list.sort()
  print(train_list) # ["Gorion" ,"Harry", "Ryan"]
   
   
  train_list = ["Harry", "Ryan", "Gorion"]
  train_list.reverse()
  print(train_list) # ["Gorion", "Ryan", "Harry"]
   
  train_list = ["Harry", "Ryan", "Gorion"]
  train_list.clear()
  print(train_list) # []
   
  people_list = ["Harry", "Ryan", "Gorion"]
  mix_list = [1, 2, 3,True]
  people_list.extend(mix_list)
  print(people_list) # ["Harry", "Ryan", "Gorion", 1, 2, 3, True]

 

2. 딕셔너리

'''
   
  1. dictionary. 사전 배우기
   
  key나 value 형태로 자료형이 나온다.
   
  key는 중복이 안되며 key가 통하는 사물함만 열 수 있어야 한다.
   
  사전은 정의할 떄 내용을 {}로 묶는다.
   
  형태 =>
  cabinet = {key라고 설정하는 값 : 내용(=value)}
   
  1. print(cabinet[key에 해당하는 값])
   
  2. print(cabinet.get(key에 해당하는 값))
   
  ex)
  cabinet[ = {4 : "박떙떙"}
  print(cabinet[[4])
   
  cabinet[ = {4 : "박떙떙", 100 : "이떙떙"}
  print(cabinet[[100])
   
  만약
   
  print(cabinet[key에 해당하는 값] 이때
  key가 없으면 오류를 발생시키고 프로그램을 멈춤.
   
  print(cabinet.get(key에 해당하는 값)) 이 때는
  key가 없으면 None를 출력하고 그대로 다음 출력을 진행하며 프로그램을 지속한다.
   
  또 만약
   
  print(cabinet.get(key에 해당하는 값)) 이 때
  key에 해당하는 값에 정의하지 않은 것을 출력하고 싶다 그럼
   
  ex)
  print(cabinet.get(key로 설정 되지 않은 값, "넣고 싶은 내용"))
   
  사전 자료형 안에 특정 key값이 있는지 없는지 알고 싶다?
   
  => print(key값 in cabinet)이라고 하면 출력에 True나 False가 나온다.
   
  2. 현재 cabinet에 새로운 걸 넣고 싶을 때
   
  ex)
  print(cabinet)
  cabinet[key에 해당하는 값] = 새로 넣고 싶은 내용
   
  만약 key에 해당하는 값이 원래 있었다면 새로 업데이트 되는 것임
   
  3. key에 해당하는 값이 가지는 내용을 없애고 싶을때
   
  del 즉, delete를 사용해 나타난다.
   
  ex)
  del cabinet[key에 해당하는 값]
  print(cabinet)
   
  4. 현재 총 사용하는 key들만 출력하고 싶을때
   
  print(cabinet.keys())를 사용
   
  5. 내용만 출력하려면
   
  print(cabinet.values())를 사용
   
  6. key들과 내용을 함께 출력하소 싶으면
   
  print(cabinet.items())를 사용
   
  7. cabinet값을 모두 지우고 싶을때
   
  cabinet.clear()를 사용
   
  ex)
  cabinet.clear()
  print(cabinet)
   
  '''
  '''
  cabinet = {4 : "박떙떙", 100 : "이떙떙"}
  print(cabinet[4], cabinet[100])
   
  print(cabinet.get(100))
   
  print(cabinet.get(1, "임땡땡"))
   
  print(4 in cabinet) #True
   
  print(7 in cabinet) #False
  '''
   
  cabinet = {"A-7" : "박떙떙", "P-0" : "이떙떙"}
  print(cabinet["A-7"], cabinet["P-0"])
   
  print(cabinet)
  cabinet["A-7"] = "사떙떙"
  cabinet["P-1"] = "칠땡땡"
  print(cabinet)
   
  del cabinet["A-7"]
  print(cabinet)
   
  print(cabinet.keys())
   
  print(cabinet.values())
   
  print(cabinet.items())
   
  cabinet.clear()
  print(cabinet)

 

3. 튜플

'''
   
  1. 튜플 배워보기
   
  튜플은 리스트처럼 내용 변경이나 추가를 할 수 없다.
   
  그러나 리스트보다 속도가 빠르며
   
  주로 변경하지 않을 리스트를 활용할 때 사용된다.
   
  변수 = (정의하고 싶은 값1, 정의하고 싶은 값2. 등등)
  print(변수이름[정의하고 싶은 값])
   
  ex)
  stars = ("박떙땡", "시땡떙")
  print(stars[0])
  print(stars[1])
  print(stars[0], stars[1])
   
  2. 튜플은 주로 여러 변수를 정의하는 것을 한 번에 정의할 수 잆다.
   
  형태
   
  (정의하고 싶은 변수 1개 ~ 여러 개) = (정의하고 싶은 값 1개 ~ 여러 개)
  print(정의하고 싶은 변수 1개 ~ 여러 개)
   
  ex)
  (where, when, time) = ("Seoul", "now", 7)
  print(where, when, time)
  '''
   
   
  stars = ("박떙땡", "시땡떙")
  print(stars[0])
  print(stars[1])
  print(stars[0], stars[1])
   
  (I_Want1, I_Want2, I_Want3) = ("Pizza", "Chicken", "Rice")
  print(I_Want1, I_Want2, I_Want3)

 

4. 집합(set)

'''
   
  0. set(=세트=집합)를 배워보자.
   
  형태
  1. 변수 이름 = {값 1개 ~ 여러 개}
  2. 변수 이름 = set([값 1개 ~ 여러 개])
   
  ex)my_set = {set 안에 넣고 싶은 값 1개 ~ 여러 개}
   
  1. 세트 특징
   
  1) 중복이 않된다. 만약 값을 중복시킬 경우 중독되는 건 하나만 출력한다. 나머지는 무시---
  2) 순서가 없다. 따라서 순서는 보장되지 않는다.
   
  2. 종류
   
  ex)
  Java = {"박땡떙", "이땡땡", "구땡땡"}
  JS = {"박떙땡", "홍땡땡"}
  일 때
   
  1) 교집합 => Java와 JS를 모두 쓸 줄 아는 사람
   
  print(변수 이름1 & 변수 이름2) -> and 아님! 논리곱임!
   
  혹은
   
  print(변수이름1.intersection(변수이름2) )
   
   
  2) 합집합 => Java와 JS 둘 중 하나라도 쓸 줄 아는 사람
   
  print( Java | JS ) -> or 아님! 논리합임!
   
  혹은
   
  print( Java.union(JS) )
   
  3) 차집합 => 하나는 할 줄 아는데 다른 건 할 줄 아예 모르는 사람
  print( Java - JS )
   
  혹은
   
  print( Java.difference(JS) )
   
  4) 집합에 값을 넣고 싶은 경우
   
  변수이름.add("넣고 싶은 값")
   
  ex)
  Java.add("치땡땡")
  print(Java)
   
  5) 집합에 들어 있는 값을 뺴고 싶은 경우
   
  변수이름.remove("뺴고 싶은 값")
   
  ex)
  Java.remove(""치땡땡)
  print(Java)
   
  '''
   
  soccer = {"Roce", "Pozy", "Eoc"}
  baseball = set(["Nago", "Noga", "Roce"])
   
   
  print( soccer & baseball ) # {"Roce"}
  print( baseball.intersection(soccer) ) #{"Roce"}
   
  print( soccer | baseball ) #{"Roce", "Pozy", "Eoc", "Nago", "Noga", "Roce"}
  print( soccer.union(baseball) )#{"Roce", "Pozy", "Eoc", "Nago", "Noga", "Roce"}
   
  print( soccer - baseball ) # {"Nago", "Noga"}
  print( soccer.difference(baseball) ) #{"Nago", "Noga"}
   
  baseball.add("Potter")
  print(baseball) #{"Nago", "Noga", "Roce", "Potter"}
   
  soccer.add("koyo")
  print(soccer) #{"Roce", "Pozy", "Eoc"}
   
  baseball.remove("Nago")
  print(baseball) #{"Noga", "Roce", "Potter"}
   
  soccer.remove("Eoc")
  print(soccer) #{"Roce", "Pozy", "Koyo"}

 

5. 자료 변경

'''
   
  0. 자료구조의 변경
   
  여태 배운 자료구조를 바꿀수도 있다.
   
  ex)커피숍이 배경이다.
   
  '''
   
  #배경이 축구장이다.
   
  need = set(["표", "슬로건", "지갑"])
  print( need, type(need) )
   
  need = list(need)
  print( need, type(need) )
   
  need = tuple(need)
  print( need, type(need) )
   
  need = set(need)
  print( need, type(need) )
  • © 2022 GitHub, Inc.

'Programming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1.08 파이썬 공부  (0) 2022.01.08
22.01.07 파이썬 공부  (0) 2022.01.08
22.01.03 파이썬 공부  (0) 2022.01.03
22.01.01 파이썬 공부  (0) 2022.01.01
21.12.31 파이썬 공부  (0) 2021.12.31